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혼동되었던 표현들을 하나씩 정리해 보았습니다.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1. 현재완료와 과거 시제 구별하기
영어 시제 중에서 현재 완료와 과거는 자주 혼동되는 부분이었습니다.
현재 완료는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경험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과거 시제는 특정 시점에 끝난 일을 표현합니다.
예: I have lived here for 5 years. / I lived there in 2010.
2. should have와 could have의 차이
두 표현 모두 과거 상황을 이야기할 때 쓰이지만,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should have는 ‘했어야 했지만 하지 못한 일’, could have는 ‘할 수 있었지만 하지 않은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예: You should have called me. / You could have won the game.
3. 능동태와 수동태 바르게 구분하기
영어에서는 동사의 주체에 따라 능동태와 수동태를 구분합니다.
수동태에서는 be 동사와 과거분사가 함께 사용되며, 시제에 따라 형태가 달라집니다.
예: They built the house. → The house was built by them.
4. 가정법 과거와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은 실제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현재를 가정할 때는 가정법 과거, 과거를 가정할 때는 가정법 과거완료를 사용합니다.
예: If I were you, I would go. / If I had known, I would have helped.
5.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 구분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설명하며, 관계부사는 시간, 장소, 이유 등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문장 구조에 따라 구별이 필요합니다.
예: The man who called me / The place where I met him
6. 전치사 in, on, at의 올바른 사용
시간과 장소를 나타낼 때 자주 쓰이는 전치사 in, on, at은 각각의 용도가 다릅니다.
의미와 사용법을 구체적으로 익혀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 in 2022 / on Monday / at 5 PM
7. 도치 구문 이해하기
부정어로 시작하는 문장은 어순이 도치되어 의문문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강조를 위한 문법 구조로, 도치 구문만의 규칙이 있습니다.
예: Never have I seen such a thing.
8. 비교급 강조 표현
비교급 앞에 much, even, far 등을 붙이면 비교를 강조하는 표현이 됩니다.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므로 익혀두면 좋습니다.
예: This book is much better than the last one.
9. 명사절 that vs. if/whether
that절은 진술이나 사실을 전달할 때, if나 whether는 선택이나 의문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맥락에 따라 알맞은 접속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 I know that he left. / I wonder if he’s okay.
10.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선택
동사에 따라 to부정사를 쓰는 경우와 동명사를 쓰는 경우가 다릅니다.
일부 동사는 두 형태 모두 가능하지만, 의미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 I enjoy reading. / I want to read.
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저도 많이 혼란스러웠던 부분들이었습니다.
이번 정리를 통해 저처럼 공부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어떤 문법 표현이 가장 어렵게 느껴지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