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핑백(Pingback)의 의미와 문제점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내부·외부 핑백 차이와 비활성화 방법까지 한 번에 알려드립니다.

핑백(Pingback)이란 무엇인가
핑백(Pingback)은 다른 블로그나 웹사이트에서 내 글을 링크했을 때 워드프레스가 자동으로 보내주는 알림 기능입니다.
- 외부 핑백: 다른 사이트가 내 글을 링크한 경우
- 내부 핑백(셀프 핑백): 내 블로그 글에서 다른 내 글을 링크한 경우
원래는 출처 확인과 백링크 관리에 유용하지만, 실제로는 광고성·스팸성 사이트에서 무작위로 링크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 관리에 불편을 줍니다.
※ 참고링크: 위키백과 – 핑백
핑백이 문제가 되는 이유
- 스팸성 알림 증가
- 광고 사이트나 피싱 사이트에서 무작위 링크 발송
- 관리 시간 낭비
- 승인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함
- 내부 핑백 혼동
- 내가 내 글을 링크해도 알림이 오므로 불필요하게 알림 목록이 늘어남
내부·외부 핑백의 차이
- 외부 핑백: 내 콘텐츠가 다른 곳에서 언급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음
- 내부 핑백: 블로그 내부의 글끼리 링크한 사실을 알림으로 알려줌
- SEO(검색엔진 최적화)에는 핑백 기능이 필수는 아님. 구글은 링크 자체를 감지하므로 비활성화해도 백링크 인식에는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핑백 비활성화 방법 (내부·외부 모두 차단)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 UI 기준
- 관리자 페이지 → 설정 → 토론 이동
- 기본 글 설정에서
- 새 글에서 다른 블로그로부터 링크 알림(핑백과 트랙백) 허용하기 체크 해제
- 화면 하단의 변경사항 저장 클릭
이렇게 하면 앞으로 발행하는 새 글에는 내부·외부 핑백 모두 차단됩니다.
기존 글에서 핑백 차단하기
이미 발행된 글에도 핑백 차단을 적용하려면:
- 글 → 모든 글 메뉴 이동
- 상단에서 전체 선택 → 일괄 편집
- 핑백/트랙백 허용 항목을 “허용 안 함”으로 변경 후 업데이트
댓글 스팸 방지 팁
핑백과 함께 오는 스팸 댓글을 줄이려면 다음 설정을 고려해보세요.
- 댓글 글쓴이는 이전에 승인된 댓글이 있어야 합니다 옵션 사용
- 필요 시 모든 댓글 수동 승인 설정
- 댓글 작성 시 이름과 이메일 입력 필수
- 스팸 필터링 플러그인(Akismet Anti-Spam 등) 사용
핑백(Pingback)은 본래 출처 확인과 소통을 위한 기능이지만, 현재는 스팸성 활용이 더 많아 관리 부담만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블로그 운영 초기라면 핑백을 비활성화해 불필요한 알림을 줄이고, 필요한 댓글과 소통에만 집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