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일본어 표현 10개를 소개하며, 각 표현의 의미와 유래를 함께 알아봅니다.
일본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흥미로운 표현들을 살펴보세요.

1. 馬鹿(ばか) – 바보
‘바카(ばか)’는 일본어에서 ‘바보’ 또는 ‘멍청이’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이 단어의 어원은 여러 설이 있으나, 대표적으로는 ‘馬(말)’와 ‘鹿(사슴)’의 한자를 조합하여 ‘말과 사슴을 구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나타낸다는 설이 있습니다.
실제로는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며, 특히 관동 지방에서는 ‘바카’, 관서 지방에서는 ‘아호(アホ)’라는 표현이 더 일반적입니다.
2. 天邪鬼(あまのじゃく) – 고집쟁이
‘아마노자쿠(天邪鬼)’는 고집이 세고 반항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 표현입니다.
이 단어는 일본의 전통적인 요괴 중 하나인 ‘아마노자쿠’에서 유래하였으며, 항상 반대로 행동하는 성격을 가진 존재로 묘사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현대에는 고집스럽고 반항적인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3. 無鉄砲(むてっぽう) – 무모함
‘무텟포(無鉄砲)’는 ‘무모하다’ 또는 ‘저돌적이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
이 단어는 ‘철포(鉄砲)’가 없는 상태, 즉 무기를 갖추지 않고 전장에 나서는 무모함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계획 없이 행동하는 사람이나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4. 雲泥の差(うんでいのさ) – 천양지차
‘운데이노사(雲泥の差)’는 ‘하늘과 땅 차이’라는 의미로, 두 사물이나 상황 간의 큰 차이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雲(구름)’과 ‘泥(진흙)’의 극명한 차이를 비유하여, 비교 대상 간의 현저한 차이를 강조합니다.
5. 凹む(へこむ) – 우울하다
‘헤코무(凹む)’는 원래 ‘움푹 들어가다’는 의미를 가진 동사입니다.
그러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감정적으로 ‘우울하다’ 또는 ‘기분이 가라앉다’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는 마음이 움푹 패인 것처럼 느껴지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6. 冷やかす(ひやかす) – 놀리다
‘히야카스(冷やかす)’는 원래 ‘차갑게 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놀리다’ 또는 ‘조롱하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에도 시대에 상점에서 물건을 사지 않고 구경만 하는 손님을 비유적으로 ‘차갑게 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사람을 놀리는 행동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발전하였습니다.
7. 無茶苦茶(むちゃくちゃ) – 엉망이다
‘무챠쿠챠(無茶苦茶)’는 ‘엉망이다’ 또는 ‘무질서하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
이 단어는 불교 용어인 ‘무사(無作)’에서 유래하였으며,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 그대로’라는 뜻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통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8. お転婆(おてんば) – 말괄량이
‘오텐바(お転婆)’는 활발하고 장난기 많은 소녀를 일컫는 표현으로, ‘말괄량이’에 해당합니다.
이 단어의 어원은 네덜란드어 ‘ontembaar(감당할 수 없는)’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으며, 일본어로 차용되어 현재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9. びりっけつ – 꼴찌
‘비릿케츠(びりっけつ)’는 ‘꼴찌’ 또는 ‘최하위’를 의미하는 속어입니다.
이 표현은 ‘びり(꼴찌)’와 ‘けつ(엉덩이)’를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특히 예능 프로그램이나 일상 대화에서 유쾌하게 사용됩니다.
10. 十八番(じゅうはちばん) – 단골 노래
‘주하치반(十八番)’은 원래 일본 가부키에서 특정 배우가 가장 잘하는 18가지 연기를 의미하였습니다.
이후 이 표현은 개인이 가장 자신 있는 노래나 특기를 나타내는 말로 확장되어 사용되며, 한국에서도 ‘단골 노래’ 또는 ‘애창곡’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직역하자면 18번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재미있는 일본어 표현에 대해 포스팅 해봤는데 재밌게 읽으셨나요?
여러분은 재미있는 일본어 표현 중 어떤 것이 가장 흥미로우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