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다큐 〈나는 생존자다〉 리뷰: 형제복지원·JMS·지존파·삼풍백화점 사건의 충격과 교훈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생존자다〉는 대한민국 현대사를 뒤흔든 네 가지 사건을 피해자와 생존자의 목소리로 재조명합니다.
형제복지원, JMS(정명석), 지존파,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
이 사건들은 모두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우리 사회 구조의 문제를 보여주는 참사였습니다.

넷플릭스 다큐 나는 생존자다.

형제복지원 사건 – 국가의 이름으로 자행된 폭력

부산에 있던 형제복지원은 1970~80년대 수천 명을 강제로 수용해 고문·학대·살인을 저질렀습니다.
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 1편은 피해자와 가족들이 아직도 2차 피해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형제복지원은 단순한 복지시설 사건이 아니라, 국가권력의 폭력이었습니다.
지금도 피해자들은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사과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참고링크 : 위키백과 – 형제복지원


JMS(정명석) – 사이비 교주의 민낯

〈나는 생존자다〉 2편은 JMS 교주 정명석의 범죄를 다룹니다.
그는 자신을 메시아라 부르며 신도를 성적으로 착취한 늙은 포식자에 불과했습니다.

  • 2025년 대법원 판결: 정명석 징역 17년 확정
  • 최측근 정조은 징역 7년
  • JMS 간부들도 줄줄이 유죄

피해자들의 증언을 들으며, 신앙을 빌미로 한 범죄가 얼마나 잔혹할 수 있는지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 참고링크: 위키백과 – 정명석(JMS)


지존파 사건 – 유일한 생존자의 목소리

1990년대 초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지존파 연쇄살인 사건.
〈나는 생존자다〉 3편은 유일한 생존자 이효진 씨의 증언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녀는 9일간의 지옥 같은 경험을 견디고 살아남았지만, 여전히 트라우마 속에 살고 있습니다.
지존파 일당은 사형으로 끝났지만, 피해자와 생존자의 고통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 편을 통해, 정의는 무엇이며 피해자는 언제 치유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 참고링크: 위키백과 – 지존파 사건


삼풍백화점 붕괴 – 부실공사가 만든 인재

1995년 서울 서초동에서 발생한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
502명이 사망한 한국 현대사의 최악의 인재(人災)입니다.

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 4편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 부실공사
  • 무리한 증축
  • 공무원의 묵인

이 불러온 참사였음을 고발합니다.

특히 생존자가 들은 말…

“보상은 얼마나 받았냐?”
“죽은 사람 몫까지 살아야지”

이것은 우리 사회가 피해자를 바라보는 왜곡된 시선을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 참고링크: 위키백과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삼풍 이후에도 씨랜드 청소년 수련원 화재(1999), 대구 지하철 참사(2003), 세월호 참사(2014), 오송 지하차도 참사(2023)부실과 안전 불감증은 반복됐습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교훈

〈나는 생존자다〉 4부작은 네 가지 사건을 통해 같은 메시지를 전합니다.

  • 형제복지원: 국가가 시민을 짓밟을 수 있다.
  • JMS: 신앙이 괴물의 무기가 될 수 있다.
  • 지존파: 인간이 얼마나 잔혹해질 수 있는가.
  • 삼풍백화점: 부실공사가 또 다른 참사를 낳는다.

결론은 하나입니다.
“우리는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잊는 순간, 비극은 반복된다.”


〈나는 생존자다〉리뷰를 쓰며

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 리뷰를 쓰면서 제 마음은 무겁습니다.
하지만 이 글이 누군가에게 경각심을 주고,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게 한다면 의미가 있다고 믿습니다.

  • 여러분은 이 다큐를 보고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 우리는 과연 이 비극들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 karismamoon-life 블로그에서 다양한 생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위로 스크롤